한양대학교구리병원

목록으로 이동

예술과 의술의 만남 - 에드바르트 뭉크 | 우울증 & 정신건강의학과

죽음으로 그늘진 삶 예술로 승화하다

예술과 의술의 만남 | 명작을 남긴 화가의 질환이 작품과 삶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오늘날의 치료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에드바르트 뭉크(Edvard Munch, 1863~1944)는 노르웨이의 표현주의 화가로, 노르웨이 지폐에 그의 얼굴이 들어가 있을 만큼 자국 국민의 사랑을 받은 예술가이다. 대표작 ‘절규’는 많은 이들에게도 익숙한 작품으로, 그림의 구도자체가 불안정하게 설정되어 강렬한 색상, 어두운 색조와 함께 보는 이에게도 불안을 전염시킨다.

글. 최준호 교수 한양대학교구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뭉크 - 절규 1910 뭉크 - 절규 1910

죽음의 공포가 함께한 어린시절

뭉크는 “나는 인류에게 가장 두려운 2가지를 물려받았다. 하나는 허약함과 정신병이다”라고 했다. 스스로 병약함과 정신적인 결함을 인정할 만큼 약한 자아를 가지고 있었던 것 같다. 뭉크의 작품은 사랑, 고통, 죽음, 불안 등을 테마로 내면의 자기표현 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는 늘 병과 죽음이 함께 했던 그의 가정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예고 없이 항상 곁에서 불쑥 나타나는 심각한 삶의 국면인 질병과 죽음에 대해서 항상 직면하고 고민할 수밖에 없었다. 그의 가정은 일견 19세기 노르웨이에선 상류층에 해당하는 선망하는 가정이었다. 그러나 그가 5살이던 1868년 어머니가 폐결핵으로 사망하면서 불행은 시작되었다. 먼저 그의 아버지가 거칠고 편벽한 성격으로 변했다고 하며, 어머니 대신으로 집안일을 도맡아 하던 누나도 결핵으로 사망한다. 이러한 가정 배경은 그를 내향적인 성격으로 만들어 갔다. 후에 작업한 ‘병든 아이’라는 작품은 누이에 대한 그의 기억의 산물이었다고 한다. 내재한 우울함과 죽음에 파묻혀 지내던 어린 시절, 그는 공업고등학교를 접고 국립공예학교에 입학한다. 이곳에서 좋은 스승을 만나 그의 내면세계가 회화로 승화되고, 예술가로서 일생을 걸어가게 된다. 1889년에는 국비 장학생으로 파리에 유학하게 되면서 인상파 화가와 만나 여러 걸작을 낳게 된다. 인상파, 신인상파에 머무르지 않고 상징주의 등을 흡수하면서 자기만의 독특한 예술 영역을 구축하던 중, 또다시 찾아온 아버지의 죽음으로 절실하고 절박한 예술작품을 만들어내는 것에 매달리게 된다. 당시 일기장엔 “여자들이 뜨개질을 하고 남자들이 책을 읽고 있는 풍경을 그리는 실내화의 의미를 찾지 못하겠다. 내 그림은 숨을 쉬고, 느끼고, 괴로워하고, 사랑하면서, 살아있는 인간이어야 한다. 내 작품을 보는 사람은 신성함과 높은 정신세계를 이해하게 될 것이며, 교회에서처럼 모자를 벗게 될 것이다”라고 쓰여 있다고 한다. 질투, 1895 질투, 1895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절규’라는 작품은 1893년 그의 전성기에 나온 작품이다. 이 작품에 대해 뭉크 자신이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고 한다. “어느 날 해 질 녘에 나는 길을 걷고 있었다. 한쪽으로는 시가지가 펼쳐져 있었고 밑으로는 강줄기가 흐르고 있었는데 마침 해가 떨어지려는 때여서, 구름이 핏빛처럼 새빨갛게 물들고 있었다. 그때 나는 하나의 절규가 자연을 꿰뚫으며 지나가는 것을 느꼈다. 나는 그 절규를 정말 들었다고 생각했다.” 이 작품은 상상의 산물도 아니고 냉정한 관찰과 분석의 결과도 아니다. 감각을 통해서 내적으로 발동된 잠재된 불안과 두려움이 환각적 경험을 끌어냈고, 평상시 정신병의 발병을 두려워하던 뭉크는 그렇게 보인 순간을 시각화하여 작품으로 형상화한 것이었다. 불안하게 설정된 구도와 주변과 유리된 공포 속의 개인은 화폭의 중심에 위치하여 보는 이의 시선을 강제로 끌어들인다. 인물을 향해 결집하여 수렴되는 주변의 색상이 나 색채는 매우 강력한 인상을 준다.

삶의 어둠을 극대화 하는 우울함

병든 아이, 1896 병든 아이, 1896 그의 인생에서 우울은 삶의 색조를 이렇게 어둡게 한 주요한 원인이었다. 아마도 뭉크의 우울증은 여러 신경증적(Neurotic) 증상에서 대표적인 불안과 공포에 시달려온 만성적인 경과가 만들어낸 재발성 우울증의 일종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당시에는 정신질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병으로 인식하고 치료받기도 쉽지 않았다. 정신약물학이 태동하고 정신질환에 약물이 사용되는 현대 정신의학은 1949년에야 시작되었다. 현대 의학에서 우울증은 높은 자살률과 관련해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매년 세계 1위의 자살률을 보이는 우리나라의 경우 더욱더 그렇다. ‘마음의 감기’라고도 하는 우울증은 적절한 치료를 통해 효과적인 성과를 볼 수 있는 질병이다. 그러나 사회적 편견과 경쟁적인 사회풍토는 병을 인지하고 치료하기 어렵게 한다. 민간질병약물의 혁신적인 발전은 우울증 치료에 큰 발전을 이루었지만, 이는 단순히 약물 복용만으로 낫는 병은 아니다. 자신의 우울한 느낌을 표현하며 일상의 어려움이 다름 아닌 우울감에서 지속한다는 자각을 도와야 하고, 성격적인 측면에서는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게끔 도와야 한다. 최소한 인지 행동적인 접근이 있어야 하며 만성적, 재발성의 우울증에서 많이 보이는 성격 구조에 대한 탐구는 정신분석적 정신치료(Psychoanalytic psychotherapy)의 접근이 요구된다.

예술과 의술의 만남 | 명작을 남긴 화가의 질환이 작품과 삶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오늘날의 치료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2016.11.01

관련의료진
정신건강의학과 - 최준호
태그

#최준호 , #우울증 , #정신건강의학과

전화예약

1644-9118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