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진 (2건)

김창렬 소아청소년과
- 진료분야
- 신생아/미숙아/영아 (건강상담, 호흡기 증상, 분만손상, 황달, 수유/영양 장애, 발열, 설사, 발진, 성장발달); 예방접종 및 육아상담
- 관련 태그
.jpg)
신용운 안과
- 진료분야
- 망막 및 유리체질환, 당뇨망막병증, 황반변성, 포도막염
- 관련 태그
미숙아 에 대한 검색 결과 10건이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에 의하면 재태 기간 37주 미만 또는 최종 월경일로부터 37주 미만에 태어난 아기를 미숙아(premature infant) 또는 조산아(preterm infant)라고 합니다. 반면 재태 기간과 상관없이 출생 당시의 체중이 2500g 미만인 경우를 저체중 출생아(low birth weight, LBW)라고 하는데,.
미숙아망막병증이란 망막혈관형성이 완성되기 이전에 출산된 미숙아에서 망막혈관 이상이 발생하는 질환군을 말합니다. 1950년대에는 과도한 산소투여가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하여 산소투여를 절제하여 발생률이 급격히 감소한 바 있으나, 1980년대부터 신생아 의학이 발전함에 따라...
2015년 11월, 한양대학교구리병원이 분만센터를 다시 개소한 것도 그래서다. “합병증이나 조기 진통으로 고생하는 산모가 늘며 조산아 및 미숙아 분만 등이 잦아지고 있어요. 아무래도 개인의원에서는 이러한 응급 상황에 대응하기가 어렵죠. 분만 전후의 고위험 임신부를 관리하는...
27주 만에 세상으로 나온 초미숙아, 최예성 군(3개월)은 태어나자마자 신생아중환자실로 이송되었다. 매 순간 위기와 마주하는 아이를 보는 부모의 마음은 뜨겁게 타들어 갔다. ‘건강하게 낳아주지 못해 미안해.’ 주저앉고 싶을 때면 소아청소년과 김창렬 교수의 이야기가...
김창렬 교수, 강하나 교수, 배종운 교수 등 출중한 의료진이 있어 든든하 다는 말에 힘이 실렸다. 신생아 집중치료실은 임신 37주 미만의 미숙아나 출생체중 2.5kg 미만의 저체중아 등을 집중치료할 수 있는 신생아 전용 중환자실이다. 지난해 보건복지부로부터 ‘신생아 집중치료...
국고지원금을 포함해 약 10억 원의 비용을 들인 신생아 집중치료지역센터의 개소로 또 한 번의 도약을 알린 것. 고위험 산모와 미숙아 출산이 증가하는 추세 속에 구리, 남양주, 서울 동북부 권역 내 유일한 대학병원으로서의 책임감과 위상을 높이는 작지만 위대한 발걸음이 시작됐다. 글..
현재 더 나은 진료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공사가 한창 진행되고 있다. 먼저 ‘지역별 신생아집중치료센터’가 연초에 완공되면 새해부터는 미숙아, 고위험 산모들에게 생명의 탄생과 회복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중앙공급실 이전 공사 ▲규격화된 중환자실 시설 확장
1644-9118